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생후 6개월부터 3세까지, 언어 발달 시기별 자극법 총정리

우리 아이 말이 늦는 걸까요? 언어 발달, 이대로 괜찮을까?

"옆집 아이는 벌써 엄마, 아빠 하는데…"  
"말귀는 알아듣는 것 같은데, 왜 말은 안 할까요?"  
"첫째는 빨랐는데 둘째는 너무 느린 것 같아요."


많은 부모님들이 아기 언어 발달에 대해 걱정합니다.  
특히 만 1세 전후부터 또래 아이들과 비교가 되기 시작하면서  
"혹시 말이 느린 건 아닐까?"라는 불안이 생깁니다.

 

 

 


하지만 언어 발달은 단순히 말하는 시기만이 아니라,  
듣고 이해하는 능력, 발성, 상호작용 등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합니다.

이 글에서는 생후 6개월부터 만 3세까지  
언어 발달의 정상 범위와 시기별 자극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생후 6~12개월: 소리 탐색과 반응 중심

이 시기의 아이는 말을 하지는 않지만,  자신의 이름을 인식하고 주변 소리에 반응을 보이기 시작합니다.

대표적 언어 발달 행동

- 엄마 목소리에 고개를 돌림  
- 낯선 소리나 장난감 소리에 반응함  
- 옹알이 시작: "아아", "우우", "마마" 등 단순 소리 반복  
- 자신의 이름을 부르면 반응함

이 시기 부모의 자극법

- 아기 눈을 보며 자주 말을 걸어주세요  
- "우리 아기 배고파요?", "기저귀 갈까?" 등 상황 언어 사용  
- 표정, 억양, 제스처를 풍부하게 사용하세요  
- 아기 반응에 즉각 반응해 상호작용을 반복하세요

Tip  
단순히 '많이 말하는 것'보다 '눈 맞추고 말하기'가 더 중요합니다.

 


생후 12~18개월: 단어 습득 시작

아기의 언어 이해력이 본격적으로 올라오며  
간단한 단어들을 따라 하거나 의미를 이해하기 시작합니다.

대표적 언어 발달 행동

- 익숙한 사물(컵, 공, 신발 등) 이름을 인식함  
- "엄마", "빠빠", "물" 등 단어 3~10개 정도 말함  
- 말은 못 해도 손가락으로 가리켜 표현함  
- "안 돼", "아니야" 같은 부정어를 이해함

이 시기 부모의 자극법

- 매일 자주 보는 사물의 이름을 반복해서 알려주세요  
- 그림책을 함께 보며, "이게 뭐야?", "이건 무슨 색이야?" 질문  
- 아기의 옹알이를 무시하지 말고 의미 있는 언어로 연결해 주세요  
- 명령형 대신 설명형 문장을 사용해 주세요  
  예: "가지 마!" → "여긴 위험해서 가면 안 돼"

Tip  
이 시기 아기는 '말하지 않아도 이해하고 있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생후 18~24개월: 말폭발기 시작

이 시기는 '말폭발기'라고도 불리며  아이의 표현어휘가 빠르게 증가하는 시점입니다.

대표적 언어 발달 행동

- 단어 수 50개 이상 사용 가능  
- 2단어 조합 말하기: "엄마 물", "아빠 가자"  
- 간단한 질문에 대답 가능: "이거 뭐야?" → "공"  
- 동작과 말을 함께 사용: "가자!" 하며 손을 끌거나 가리킴

이 시기 부모의 자극법

- 아이가 사용하는 단어에 한 단어를 더해 확장해 주세요  
  예: "물" → "물 마실래?"  
- 아이가 말하기 전에 먼저 질문하지 말고 기다려주세요  
- 말하는 속도를 맞추고, 아이 표현을 끝까지 들어주세요  
- "맞아, 네 말이 맞아"와 같은 공감 언어를 자주 사용하세요

Tip  
이 시기의 언어 자극은 아이의 '말하고 싶다'는 동기를 높여줍니다.


만 2~3세: 문장 구성 능력 발달

문장력이 생기고, 간단한 대화가 가능해지며  
‘의사소통의 기초’가 만들어지는 시기입니다.

대표적 언어 발달 행동

- 단어 수 200~500개 이상 사용  
- 3~4단어 문장 구사: "엄마 나 밥 먹을래"  
- 왜, 뭐, 어디 같은 질문 사용: "이게 뭐야?", "왜 울어?"  
- 간단한 이야기 구조 이해 (ex. “이유-결과”)

이 시기 부모의 자극법

- 질문보다 설명 유도: "이건 뭐야?"보다 "이게 어떻게 움직일까?"  
- 아이의 말을 끊지 말고, 최대한 존중해서 반응하기  
- 대답을 유도하기보단, 이야기를 주고받는 연습을 함께 해보기  
- 역할 놀이, 상황극 등을 활용해 상상력을 자극해 주세요

Tip  
아이가 틀린 말을 해도 즉시 교정하지 말고, 자연스럽게 바른 표현으로 이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 아이 말이 느린 걸까요? 체크 포인트

모든 아이는 언어 발달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단순 비교보다는 다음 기준을 참고해 보세요.

언어 발달 이상이 의심되는 경우

- 12개월이 지나도 이름을 불러도 반응 없음  
- 18개월이 지나도 단어를 한 개도 사용하지 않음  
- 24개월이 지나도 2단어 조합을 못함  
- 36개월이 지나도 대화 흐름이 거의 없음  
-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거의 없음

이런 경우, 소아청소년과나 언어치료사 상담을 권장합니다.  
조기 발견과 개입이 가장 중요합니다.

마무리하며

언어는 듣고, 보고, 반응하며 익히는 과정입니다.  
많이 말한다고 해서 빨리 배우는 것이 아니라,  
부모와의 상호작용, 환경적 자극, 정서적 안정이 함께 작용해야 아이의 언어 발달이 건강하게 이루어집니다.

 


아직 말을 잘 못하는 것 같아도,  
아이의 눈을 보고 웃으며 말을 건네는 순간,  그건 이미 언어 자극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오늘 하루,  “우리 아기 이름 불러주기”부터 다시 시작해 보세요.